손 피부색과 다른 수상한 팔…백신 거부자들 상상초월 꼼수
입력 2021.12.11 05:00
![뉴질랜드 오클랜드의 바 앞에 입장을 위해선 백신 패스가 필요하다는 안내판이 있다.[A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12/11/427ba753-e5ff-40a6-b3cb-bc6953a2513d.jpg)
뉴질랜드 오클랜드의 바 앞에 입장을 위해선 백신 패스가 필요하다는 안내판이 있다.[AP=연합뉴스]
겉으로 보기엔 진짜 패스와 구별이 쉽지 않은 '위조 패스'도 활개를 치고 있다. 한 술집의 주인은 "가짜 백신 패스를 이용해 들어오려던 50명을 돌려보냈다"면서 "디자인은 거의 동일하지만, QR코드 인식이 안되거나 신분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아 들통난다"고 말했다.
![이탈리아에서 백신 패스를 인증받고 있는 사람.[A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12/11/f72a6a6e-7678-408d-bda1-e1823ef86d6b.jpg)
이탈리아에서 백신 패스를 인증받고 있는 사람.[AP=연합뉴스]
SNS 올라온 남의 패스 '스크린 샷'도
獨 가짜 패스 적발시 '최고 징역 1년'
이탈리아 보건 당국은 '모방 범죄'를 우려한 듯 그의 수법을 자세히 전하진 않았지만, 간호사가 '의수'로 착각한 것으로 봤을 때 진짜 팔을 몸속에 딱 붙인 채 셔츠 등에 가짜 팔을 끼워 넣는 방식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가짜 팔로 접종을 시도한 이탈리아 남성 사례와는 관련이 없는 사진이다. [A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12/11/d8afbaee-17ac-46bb-8940-4c48f5ec29dd.jpg)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가짜 팔로 접종을 시도한 이탈리아 남성 사례와는 관련이 없는 사진이다. [AP=연합뉴스]
이탈리아는 식당·술집, 문화·체육 시설 등 거의 모든 장소를 출입할 때 백신 패스를 요구한다. 패스 없이 시내버스를 탈 경우 400유로(약 53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이탈리아에선 일부 사람들이 패스를 얻기 위해 이른바 '코로나19 파티'를 연다는 사실이 알려져 충격을 주기도 했다. 코로나19 완치자들에게도 패스가 부여된다는 사실을 이용, 백신은 맞기 싫은 이들이 차라리 고의로 코로나19에 감염됐다 회복하는 방법을 택한 것이다.
![지난 6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시민들이 버스를 타기 전 백신 패스를 인증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EPA=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12/11/d1544a92-157d-428a-89a5-c483c72ffaed.jpg)
지난 6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시민들이 버스를 타기 전 백신 패스를 인증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EPA=연합뉴스]
경찰 조사 결과 40세 남성인 가장이 아내와 4세, 8세, 10세 자녀를 총으로 살해하고, 자신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이 발견한 남성의 유서에는 “아내를 위해 가짜 백신 패스를 만들었는데 아내의 고용주에게 들통이 났다. 아내와 함께 감옥에 가고 아이들은 다른 집으로 끌려갈까 두렵다”고 적혀 있었다.
독일은 백신 패스를 이탈리아만큼 강력한 수준으로 적용 중이다. 또 최근엔 가짜 패스를 사용하다 적발되면 최고 징역 1년에 처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독일의 한 백화점 앞에 백신 패스 정책을 알리는 안내 글이 붙어 있다. [EPA=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12/11/31d330c3-700f-42b8-9240-ff1e05457a36.jpg)
독일의 한 백화점 앞에 백신 패스 정책을 알리는 안내 글이 붙어 있다. [EPA=연합뉴스]
국내에선 백신 패스 적용 장소가 확대되면서 업계가 반발하고, 자유 침해 논란이 이는 등 새로운 사회적 갈등으로 떠오르고 있다.
백신 패스 도입을 반대하는 쪽에선 이 제도가 사실상 백신 접종을 의무화한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와 관련, 세계보건기구(WHO) 유럽사무소의 한스 클루게 소장은 7일 "백신 접종 의무화는 다른 선택지를 다 썼을 경우에만 최후의 수단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