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NEWS

뉴스

보기만 해도 기분 좋은 ‘2017년 황금연휴’
보기만 해도 기분 좋은 ‘2017년 황금연휴’
12년 만에 공휴일이 가장 많다는 2017년.공휴일 표시는 보기만 해도 설렌다. 1. 1월 27일 ~ 1월 30일 (4일) 곧이다. 1월 30일(월)이 대체휴일이라 4일...
[글로벌24] 근무 끝난 뒤 직장상사 이메일·SNS 금지
근무 끝난 뒤 직장상사 이메일·SNS 금지
프랑스에선 올해 1월 1일부터 업무 시간이 끝나면 노동자들에게 업무와 관련된 이메일을 보낼 수 없게 됐습니다. 새로운 노동법이 시행됐기 때문인데요...

TV엔 없다

프로그램

최신뉴스 정지 최신뉴스 재생 최신뉴스 이전기사 최신뉴스 다음기사
기상·재해
기상·재해 뉴스 멈춤 기상·재해 뉴스 시작
뉴스 검색
“사업논의 전무”…‘미르재단’ 이상한 재무 구조 ISSUE
입력 2016.11.08 (21:25) | 수정 2016.11.08 (21:40) 뉴스 9
동영상영역 시작
“사업논의 전무”…‘미르재단’ 이상한 재무 구조 저작권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미르재단이 기업으로부터 500억 원에 가까운 돈을 받고 출범한 뒤, 제대로 된 사업 논의조차 하지 않았다는 내부 증언이 나왔습니다.

또 기금 유용이 가능하도록 이상한 재무구조를 만든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손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10월 단 하루 만에 허가를 받아 초고속으로 출범한 미르 재단.

당시 재단 추천으로 이사로 합류했던 김영석 씨는 이상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고 털어놨습니다.

사업이 전혀 속도를 내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녹취> 김영석(전 미르재단 이사) : "새로운 안건들이 올라와 빨리 진행돼야 하는데 안 되니까 뭔가 잘못된 건 아닌가."

올해 7월까지 6차례 열린 이사회에서는 부실한 정관을 고치는 일만 반복했다고 증언합니다.

또 프랑스 요리학교인 에콜페랑디와의 업무 협약 등도 이사회에서는 전혀 논의되지 않았습니다.

<녹취> 김영석(전 미르재단 이사) : "이사장이 파리 갔다 왔다는 이야기는 들었습니다. (코리아에이드나 케이밀 사업 들어본 적 없으세요?) 없습니다."

재단의 일은 모두 이성한 전 사무총장과 이한선 전 상임이사 등 차은택 씨 측근 중심으로 진행됐습니다.

미르재단의 비정상적인 운영과 재무구조는 검찰 수사를 통해서도 드러나고 있습니다.

공익 법인은 보통 재단 기금의 유용을 막기 위해 일부를 '기본재산'으로 분류해 사용을 제한합니다.

그런데 미르재단은 기금의 20% 가량만 '기본재산'으로 분류하고 그나마 '일시적 제약'이란 단서를 달아서 유용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80% 돈은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 '보통재산'으로 분류해 얼마든지 빼쓸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대기업에서 받은 거액의 기부금으로 출범한 미르재단은 한 순간에 허물어질 수 있는 모래성 구조였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 “사업논의 전무”…‘미르재단’ 이상한 재무 구조
    • 입력 2016.11.08 (21:25)
    • 수정 2016.11.08 (21:40)
    뉴스 9
“사업논의 전무”…‘미르재단’ 이상한 재무 구조
<앵커 멘트>

미르재단이 기업으로부터 500억 원에 가까운 돈을 받고 출범한 뒤, 제대로 된 사업 논의조차 하지 않았다는 내부 증언이 나왔습니다.

또 기금 유용이 가능하도록 이상한 재무구조를 만든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손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10월 단 하루 만에 허가를 받아 초고속으로 출범한 미르 재단.

당시 재단 추천으로 이사로 합류했던 김영석 씨는 이상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고 털어놨습니다.

사업이 전혀 속도를 내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녹취> 김영석(전 미르재단 이사) : "새로운 안건들이 올라와 빨리 진행돼야 하는데 안 되니까 뭔가 잘못된 건 아닌가."

올해 7월까지 6차례 열린 이사회에서는 부실한 정관을 고치는 일만 반복했다고 증언합니다.

또 프랑스 요리학교인 에콜페랑디와의 업무 협약 등도 이사회에서는 전혀 논의되지 않았습니다.

<녹취> 김영석(전 미르재단 이사) : "이사장이 파리 갔다 왔다는 이야기는 들었습니다. (코리아에이드나 케이밀 사업 들어본 적 없으세요?) 없습니다."

재단의 일은 모두 이성한 전 사무총장과 이한선 전 상임이사 등 차은택 씨 측근 중심으로 진행됐습니다.

미르재단의 비정상적인 운영과 재무구조는 검찰 수사를 통해서도 드러나고 있습니다.

공익 법인은 보통 재단 기금의 유용을 막기 위해 일부를 '기본재산'으로 분류해 사용을 제한합니다.

그런데 미르재단은 기금의 20% 가량만 '기본재산'으로 분류하고 그나마 '일시적 제약'이란 단서를 달아서 유용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80% 돈은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 '보통재산'으로 분류해 얼마든지 빼쓸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대기업에서 받은 거액의 기부금으로 출범한 미르재단은 한 순간에 허물어질 수 있는 모래성 구조였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카카오친구 추가 이벤트
라인뉴스
뉴스플러스
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