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RAME: //www.googletagmanager.com/ns.html?id=GTM-K5L5MS
5th오마이스타
(Submit) 채널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inter:view
special
gallery
sports
all
시민기자 기사쓰기
블로그뉴스 입력
기사제보
검색
(BUTTON) search (BUTTON) 닫기
inter:view
special
gallery
sports
all
로그인
|
공지사항
|
기사제보
(Submit) 검색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모바일 웹
오마이뉴스
10만인클럽
오마이블로그
모바일 앱
오마이뉴스
moi
닫기
5th오마이스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왜 시간 여행을 떠났을까?
댓글
페북
트위터
공유
구글
카스
밴드
오블
복사
inter:view
special
gallery
sports
all
기사제보
기사쓰기
블로그쓰기
(Submit) search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5th오마이스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inter:view
special
gallery
sports
all
(Submit) search
기사제보
기사쓰기
블로그쓰기
Editor's Choice
[C1400S5002A00022762171145246.jpg]
<그알> PD와 주진우 기자의 '신변 위협' 호소... 섬뜩하다
[C1400S5002A00022760151101003.jpg]
<마스터> 흥행 위해 <판도라> 축소? 이해 못할 극장의 전략들
[C1400S5002A00022762271170433.jpg]
전원책의 '깽판'에 가려진 진실, 한 가지는 명확하다
영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왜 시간 여행을 떠났을까?
[리뷰] ... 어딘가 부족하다
이정희(ama2010)
16.09.11 18:49최종업데이트16.09.11 18:50
인쇄
북마크
댓글
페북
트위터
공유
구글
카스
밴드
오블
복사
확대
축소
영화 <거울 나라의 앨리스> 공식 포스터.
▲영화 공식 포스터.ⓒ 월드 디즈니 스튜디오 모션 픽처스
주의! 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앨리스가 돌아왔다. '이상한 나라'로 갔던 앨리스는 이번엔 '시간' 속으로 여행을 한다. 2010년에 개봉한 팀 버튼 감독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어떤 작품을 만나도, 그만의 색채로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는 팀 버튼 감독과 해석이 무궁무진한 판타지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왜 이들이 진작 만나지 않았을까 반문이 들 정도로, 두 세계의 조우는 기대를 모았다.
그렇게 동화 속 '이상한 나라'는 팀 버튼에 의해 가장 화려하게 시각화되었고, 동화가 가지는 가치 전복의 세계는 '팀 버튼
월드'를 통해, 그 '이상함'이 확장되었다. 물론, 그 팀 버튼스러움을 더한 이상함이 잔뜩 분위기를 잡느라, 정작 서사는 '붉은
여왕 vs. 하얀 여왕'이라는 단선적 대결 구도가 되어 아쉬웠지만. 그래도 '이상한 나라'의 '이상함'만으로도 뭐 그다지 아쉽지
않았다. 그런 팀 버튼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이제 '시간' 여행으로 돌아온다니, 과연 팀 버튼이 빚어낸 '시간'은 또
어떤 이상함을 선사할까 기대가 되었다.
<거울 나라의 앨리스>의 곳곳에는 '팀 버튼스러운' 분위기가 남아있다. 하지만 팀 버튼은 제작을 맡았을 뿐, <거울 나라의
앨리스>의 감독은 제임스 보빈이다.
캐릭터의 활약이 아쉽다
영화는 여전히 화려하고, 거울 속에 빨려든 앨리스는 죽어가는 모자 장수를 구하기 위해 시간을 거슬러 모험을 시작한다. 앨리스가
돌아간 과거의 이상한 나라는 여전히 이상하고, 그녀가 뛰어든 시간의 성은 이상한 나라 못지않게 기괴하고 우스꽝스럽다. 시간을
거스른 그곳에는 또 다른 동화 속 세상이 열린다. 하지만 화려한 분위기도, 상상력의 경계를 넘어선 듯한 '시간'의 세상도
신기하지만, 그뿐이다.
화려한 색채와 박진감 넘치는 언드벤처에도 불구하고 내내 싱겁게 느껴지는 그 본질은 무엇이었을까? 그건 결국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라는 작품에 대한 질문과 그에 대한 팀 버튼의 해석으로 귀결된다.
원작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수학자였던 찰스 루트위지 도지슨이 루이스 캐럴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앨리스라는 소녀는 회중시계를 든 토끼를 따라 토끼굴로 들어가며 모험을 시작한다. 이 작품에서 앨리스의 모험이란, 우리가 사는
세상의 잣대를 벗어난 새로운 세계다. 몸이 커졌다 작아졌다 하고, 동물들이 사람처럼 움직이는 것은 물론, 그들의 행동 양식
자체도 상식으론 이해할 수 없는 기묘한 것들이다.
제목에서부터 이상한 세상에선 이상한 것들이 멀쩡한 듯 행동하고,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버젓이 벌어진다. 그 속에서
'상식'을 지닌 소녀 앨리스의 행보는 당연히 '모험'과 '위기'를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이상한 시간 여행
ⓒ 월드 디즈니 스튜디오 모션 픽처스
바로 이 언밸러스한 비상식의 세계는, 팀 버튼이라는 비상식적인 감독을 통해 가장 적절하게 표현된다. 당연히 원작 속 토끼며
쌍둥이며, 사냥개들은 저마다 캐릭터를 가지고 활약하며, 팀 버튼의 영혼의 단짝인 조니 뎁에 의한 '모자 장수'는 감초 그
이상으로 앨리스의 혼을 쏙 빼놓으며 '이상한 나라'를 이상한 나라답게 만든다.
바로 이 지점, 이상한 나라에서 이상스러움을 보여주었던 그 등장인물들이 거울 나라에서는 그저 '단역'처럼 스쳐 지나가 버린다.
무엇보다, 그 이상스러움에 선봉장 역할을 하던 조니 뎁의 무존재라니! 과연 이 사람이 조니 뎁 맞는가 싶게, 거울 나라에서 그는
죽어가는 역할 그 이상을 해내지 못한다. 조니 뎁만의 '미친 모자 장수'의 활약을 끝내 보지 못하고 나선 극장에선 과연 내가 이
영화를 본 게 맞나 싶은 생각마저 들게 한다. 그건 앤 해서웨이의 하얀 여왕도 마찬가지다. 조니 뎁과 앤 해서웨이라는 쌍두마차를
제치고, 열렬한 활약을 보인 건 붉은 여왕의 헬레나 본 햄 카터와 '시간'의 사차 바론 코헨이다.
원작 속 앨리스는 본의 아니게 토끼 굴로 들어가게 되면서, 본의 아니게 모든 사건에 끼어들게 된다. 앨리스의 의도와 무관하게
버젓이 '티 파티'의 일원이 되는가 하면, 여왕의 재판에 끼어들어 위기에 빠지게 되는데, 그 '본의 아닌' 사건들에 꿰어져
들어가는 앨리스에 대해, 안타까움과 흥미진진함이 들지언정, 왜 남의 일에 끼어들어 생고생을 하느냔 생각은 들지 않는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거울 나라'로 가서 '시간 여행'까지 하는 앨리스를 보며, 왜? 라는 의문이 든다. 앨리스는 죽어가는 모자
장수를 구하기 위한 '고운' 마음으로 '시간'을 멈추거나, 시간을 거스르는 모험을 서슴지 않는데, 물론 죽어가는 모자 장수를
구하기 위한 것인 줄 알면서도 어쩐지 그 모험의 위기에 앨리스의 타자성이 자꾸 눈에 거슬리는 건 어쩔 수 없다. 앨리스가
알아주지 않아 죽어가는 모자 장수, 정말 자신의 가족이 살아있다는 걸 믿는 모자 장수라면, 그가 스스로 시간 여행에 뛰어들어야
하는 거 아닌가? 그게 아니라도 최소한 앨리스와 같이 시간 여행에 뛰어들어야 하는 게 아닌가란 생각을 영화를 보는 내내 지울 수
없다.
조작된 가족애
앨리스는 '시간'을 거르스는 금단의 모험으로 붉은 여왕과 하얀 여왕의 해원도 풀어냈을 뿐만 아니라, 죽어가는 모자 장수의 가족이
죽지 않았다는 것도 알아낸다. 사건의 당사자는 하얀 여왕과 붉은 여왕, 그리고 모자 장수이지만, 자매, 그리고 모자 장수 가족
간의 난관을 해결해 주는 사람은 앨리스라는 서사의 딜레마가 생기는 것이다.
결국 영화는 오래된 자매간의 질시와 그로 인한 세계의 불행도 해결해 내고, 모자 장수 아버지와 아들 간의 오해도 풀어주며,
이별했던 가족 간의 해후까지 만들어 주며 '가족'의 해피엔딩으로 마무리되지만, 마치 '선물'처럼 받은 이 '가족애'는 주제로
내걸기도 무색한 것이다. 진정한 '가족애'라면 내 가족은 내가 지켜내야 하고, 내 가족 간의 오해는 내가 대가를 치루더라도
해결해 내야 한다. '금단'의 시간을 어겼지만, 그 누구도 시간의 금을 넘은 대가도 치르지 않은 해피엔딩은 무가치해 보이기까지
한다.
그런 무색함을 덜어내기 위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그랬듯, 앨리스는 이상한 나라에서의 모험 후에 스스로의 선택이 아닌
약혼을 파했듯, 이제 거울 밖 세상에서 자신이 집착했던 아버지의 배를 포기한다. 하지만 그조차도 그런 앨리스에 대한 어머니의
감동으로 달라지지 않는다. 언뜻 보기에 앨리스는 모험 이후에 달라진 듯 보이지만, 사실 앨리스는 모험하기 이전부터 세계를 누비던
용감한 모험가였고, 단지 잠깐 그 모험의 대상을 달리했을 뿐이다. '성장'을 이야기하려 하지만, 이미 이전부터 배를 호령하는
선장이었다는 판타지에서 시작된 영화는 '성장'조차도 궁색하다. 그저 성장을 위한 요식행위랄까.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거울 나라의 앨리스
0
0
0
페북
트위터
구글
카스
밴드
오블
복사
원고료 주기 0
10만인클럽 후원하기 16,133
after before
[00588542.jpg] 이정희ama2010
기자찜하기
쪽찌
페이스북
더보기
미디어를 퉁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기사
전원책의 '깽판'에 가려진 진실, 한 가지는 명확하다
<월계수 양복점>이 여성을 다루는 방식, 너무 불편하다
<라라랜드>는 결국 사랑 영화가 아니다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Submit) unfold
(Submit) a
(BUTTON) ×
top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안내
제휴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RSS
오마이뉴스(주)|TEL: 02-733-5505 |FAX: 02-733-5011,5077|© Ohmy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