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메나리니 더마틱스 울트라 약사공론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ㆍ비밀번호 찾기 기사제보 새해인사배너 검색 뉴스 전체기사보기 기획 · 분석 특집 · 기고 약사회 약국 · 경영 정책 · 보험 제약 · 유통 해외 · 약학 단체 · 동문 포토뉴스 약사공론 지면PDF 미디어센터 약공TV KPA 교육강좌 칼럼·연재 인터뷰 약공시론/기고 이슈논단 기자의 창 Pharm in Art 청년기자뉴스 뉴스 청년기자단카페 약공 In People 알림 약사초빙 제약·유통·약국사원 모집 약국매매 한국 약사 문학상 약국수기 약공플러스 신제품 신간 자료실 약티즌 유머 도서신청 2017.01.03 (화) 보건당국, 일회용 인공눈물 '이상한 약가 구조' 인지 식약처, 관런 업체 간담회서 언급...안전성 자료 제출 요구 2016-11-11 06:00:17 E-mail 정웅종 기자 프린트 프린트 메일로 보내기 메일 twitter facebook 현행 허가사항을 벗어나 무보존제 일회용 인공눈물이 용량이 늘수록 보험약 가가 높아지는 구조라는 사실을 보건당국이 인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회용 점안제의 용법용량 등 허가사항을 바꿔 놓고도 약값 산정 방식 변경 등 후속조치를 하지 않아 보험재정 낭비 요인이 되고 있다는 그 동안의 언론 과 국정감사 지적이 확인된 것이다. 지난 4일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에서 열린 식약처와 관련 업체 간담회 참 석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이날 발언 중에 보험약가 문제가 구체적으로 제 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식약처 관계자는 고용량과 약가 관계에 대해 용량이 늘면 약가가 높아 진다고 파악했다고 발언했다. 이 관계자는 업체들이 부정적 의견을 제기하자 일회용 인공눈물 재사용 문제 가 안전성 이슈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 입장에서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또 과거 안전했다고 앞으로도 안전 한다고 할 수 있는지 등 구체적인 의견들이 오고간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간담회 논점은 어느정도의 용량이 일회용인지 또는 다회용인지의 판 단 기준, 안전성 이슈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 수집, 약가 관련 사항의 검토 등으로 모아졌다. 참석 업체들은 이달 18일까지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기술적 자료와 시설교체 비용 등 구체적인 입장을 제출 하도록 요청 받았다. 관련기사보기 "당장 어렵다" 일회용 점안제 개선...제약사들 집단 반발 2016-11-09 12:00:30 1회용 인공눈물, 대용량 이유 있었네...약값 최대 3.4배 차이 2016-10-05 12:00:30 약공덧글 상식이 2016-11-11 10:19:55 edit del 제조업체와 규제당국이 잘 협의해서 임상 현장의 혼란을 줄여줄 생각 을 하세요. 주의사항처럼 고용량의 제품을 1번 쓰고 버리라고 복약지도하면 환자 는 당연히 상술로 간주하여 약사를 비난합니다. 그리고 1번 쓰고 버리지도 않습니다. 그러면 약사는 1회용 제품 어지간하면 안 팔려고 합니다. 이런 걸 깨닫지 못하면 에브리바디 올투게더 비컴 루저s가 됩니다. 덧글작성 이름 비밀번호 스팸방지 <- 8759 입력 [btncomment.gif]-Submit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들은 표시가 제한됨을 알 려드립니다. [publish.json?nurl=http3A2F2Fwww.kpanews.co.kr2Farticle2Fshow.asp 3Fidx3D178619xmlurl=http3A2F2Fwww.kpanews.co.kr2Farticle2Fshow daumxml.asp3Fidx3D178619channel=society] 지금 바로 뉴스 [정책보험] "노인 장기요양급여비 부담 줄이자"...본인부담상한제 추진 [제약유통] 부산동부지검, LG화학 리베이트 관련 압수수색 [제약유통] 대웅제약, 한용해 박사 연구본부장 영입 [제약유통] 아스피린, 대규모 반품 파동...약국가 '우왕좌왕' [제약유통] 제약 온라인몰 춘추전국시대 '임박'…유통은 '고민중' [20150908msd.gif] [161101KPA배너2290X290.gif] 많이 본 기사 [정책보험] '약업계' 올해부터 달라지는 제도 '꼭 체크하세요' [기획분석] "법인카드 꺼내기 조심스러워"…일단 '몸사리는' 제약사들 [약국경영] 약국 양도·양수서 폐업·개설 과정 생략, 약국가 영향은 [제약유통] "일회용 점안제, 빨리 해결 좀 해줬으면…" 속타는 업계 [기획분석] 反 약사정책 펴온 '아바타 정부'에 약사사회도 분노 [정책보험] 미래부, 신약 파이프라인기술 확보에 투자 확대 [제약유통] 노장의 퇴장, 장수의 귀환...제약업계는 '자리' 이동 중 [약사회] 최귀옥 도봉강북분회장, 도봉구 명예구청장 위촉 [정책보험] 안전상비약 판매 편의점, 건기식 영업신고도 제외? [제약유통] 토종 제약사들, 기술수출로 한해 2조원 벌어들였다 약공TV 주간 베스트 정유년, '줄탁동시(21840;啄同時)'로 극복하자 3기 KPA교육강좌 OPEN 청년기자 뉴스 이른 a형독감, 원인과 치료약은? 원격화상투약기 대안 공공심야약국, 현황은? "따뜻한 격려 속에 내딛는 예비약사로서의 첫 걸음" 소비자는 어떻게 건강기능식품을 고르나 [160108bukwang.gif] 약사공론소개 오시는길 광고안내 기사제보 구독신청 개인정보처리방침 서울 서초구 효령로 194 대한약사회관 3층 Tel : (02)581-1301 Fax : (02)583-7035 kpanews1@naver.com Copyright (c) 2004 kpanews.com All rights reserved. 대한약사회 약학정보원 의약품정책연구소